본문 바로가기

너나, 그리고 우리

중국을 생각한다.. 슈퍼차이나를 보고

캐나다에 사는 동생에게서 한국방문을 계획하면서 가는 길과 오는 길에 중국을 경유할 예정이라는 이야기를 들은 것은 작년말쯤이었다. 그애의 한국방문 계획에 토를 단 가족들은 없었지만, 중국을 경유한다는 계획에는 모두가 쌍수를 들어 반대했다. 그자리에 모였던 이는 엄마와 언니, 나, 그리고 제부등이었던 걸로 기억한다. 동생은 이제 9학년인 큰딸의 봄방학을 맞이해서 한국을 좋아하는 그애를 데리고 둘만의 여행을 추진중인데, 중국방문을 팩캐지가 아닌 자유여행으로 할 예정이라고 말해서 우리 모두의 걱정을 샀다. 


불과 두어달 이전에 있었던 일이었다. 그때만 해도 중국에 대한 나의 의견은, 매우 위험한 나라, 믿을 수 없는 나라, 돈만 아는 나라로 각인되었었다. 그런데 몸매가 야리야리해서 나이들어보이지 않는 동생이 제 딸을 데리고 간다하니,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생각까지 들었었다. 나뿐만이 아니고, 제부는 그 위험한 나라에 딸을 동반하냐며 거품을 물기도 했다.


그런데 꽤 도전적인 동생은 우리들의 그런 의견에 조금도 흔들리지 않았다. 북경과 상해를 방문할 예정인 그녀는 전세계 여행객들이 찾는 관광지인데 위험할 것이 없다는 요지였다. 워털루에서 미용실을 경영하는 동생은 고객의 많은 수가 중국인들인데, 그들이 사는 나라를 보고싶다고 말해왔다. 그녀는 아마도 배울 것이 많을 것이라며, 자신의 주장을 굽히지 않았었다. 엄마를 비롯하여 우리들은 "중국에 갔다가 장기를 적출당하고 버려진 관광인들도 있다더라"는 험한 말까지 하면서 그애의 중국행을 만류했다.


그런데 이야기를 나눈지 몇달이 지나지도 않았는데, 지난번 동생과의 통화에서 "중국 방문 준비가 잘되고 있는지"를 묻고는, "중국이 그다지 위험한 곳인것 같지는 않다. 잘 다녀오라"고 상반되는 의견을 전달했다.


사실 중국에 대한 고정관념을 가진지는 오래되었다. 외신을 통해 들려오는 중국에서 사기당한 한국사람들의 소식과, 허삼관매혈기와 형제등 위화가 쓴 소설 두편을 읽고 중국을 상상했고, 캐나다 중국타운의 시장뒷골목 냄새등, 그것에서 비롯된 부정적인 이미지등에서 그 나라에 대한 내 입장을 확고히 했다.


그런 내게 무슨 일이 일어났나? 

 

KBS 국영방송국에서 다룬 "슈퍼차이나"를 시청했다. 며칠후에 몇 가정의 모임이 있는데, 슈퍼차이나를 보고 대화를 나누기로 했고, 중국에 관심이 있는 남편은 그전에 슈퍼 차이나를 시청하고, 나에게도 권유했었다.


13억 인구를 가진 중국의 빠른 발전과 변화, 강력한 나라의 힘을 골고루 편성하여 내보낸 다큐멘터리다. 한국의 국영방송국에서 취재했다고 보기 어려운 공산당의 리더쉽까지 다룬, 거의 흠모에 가까운 방송내용을 지켜보니, 더이상 무시할 수도 무시당할 수도 없이 큰 대국이라는 그들의 국가위상에 대한 그동안의 나의 무지를 고백하지 않을수 없게 된 것이다. 한 나라가 그의 이미지를 바꾸는 데 그렇게 짧은 시간이 걸리다니, 그 사실 자체가 놀랍고도 무섭다. 그 방송은 마치 중국정부의 홍보영상처럼 중국 곳곳을 잘 소개했고, 어마어마한 숫자와 통계자료들 앞에서 기가 죽을 수밖에 없게 편성되었다. 중국인들에게는 자부심이 생기게 하고, 기타 외국인들에게는 흠모를 심어주기에 손색이 없는 시리즈다. 또한 한국의 안방 극장에서 꽤나 공고해보이는 중국의 공산당을 소개해주다니 그것이 믿겨지지 않았다.(이 또한 나의 무지일런가) 중국 공산당 간부가 되기 위해서는 아래로부터 차근차근히 밟고 올라와야 하며, 그동안 실력과 경험을 쌓아야 된다고 한다. 그들에게는 정치스타가 존재하기 어려운 제도이며, 정치간부중에서 "멍청이"는 있을 수 없다고 말하기도 한다.








위화의 장편소설 "형제"에서는 벌어들인 돈으로 우주 유람을 하는 주인공 이광두의 모습이 나오는데, 막대한 부의 중국부자들을 묘사했다고도 볼수 있다. 우리의 상상을 뛰어넘는 부의 축적과 그런 것이 가능한 중국이라는 사회를 눈여겨봐야 한다는 것. 

위화가 중국을 그렸을 때만 해도, 자본을 벌여들여 한편은 부자가 되지만, 그렇지 못하고 옛 전통에 의지해 살던 사람들의 몰락 사이에서 "황금만능주의"와 "부패"로 점철된 부정적인 중국이었다면, 이제는 그 격차를 줄이고 더 많은 사람들이 부자가 되는 방향으로 국가정책이 움직이고 있다하니, 앞으로 중국은 그야말로 세계 제1의 국가가 될수도 있겠다는 게 많은 사람들의 예측이다. 

이웃 블로그인 엘리엇님의 "Elliot의 주책과 변덕블로그"에서 나는 처음 마윈 사장을 만났다. 그가 작년에 상장한 "알리바바"라는 IT회사가 전세계 이목을 끌었고, 중국의 대기업중 하나가 되었다는 소식과 함께 마윈 사장의 투철한 "상생"의 기업정신을 소개받았었다. 흥미있는 인물이라고 여겼다. (궁금하신 분은 여기로 방문  http://blog.daum.net/elliotinnewyork/316) 



중국공산당은 시장경제를 받아들이며, 자본가들까지 중국정부가 책임지는 거대 정권으로 탈바꿈하였고, 기업을 하려는 사람들에게 등을 빌려주었다. 이렇게 성장한 기업들이 짝퉁생산에서 진품을 뛰어넘는 기업구조를 다져나가고 있다는 것이다. 그들은 중국의 내수시장을 충분히 활용하여, 기업의 기반을 다지고, 세계시장으로의 진출을 노리고 있다.

계면쩍은 고백이지만, 중국의 주식을 소개하는 중국통의 투자자의 40여분에 이르는 중국에 대한 강의와 주식에 관한 전망을 들어보기도 하였다. 주식의 "주"자도 모르는 사람이지만, 돈의 흐름이 어디로 가고있느냐를 유심히 봐야 한다는 그 강사의 연설에 고개가 끄덕여졌었다. 나중에 몫돈이 생기면, 중국기업의 주식을 사놓는 것은 어떤가, 그런 생각까지 하였다. 이건 완전히 돈이 궁한 필자의 엉뚱한 외출이었다.(모두 웃기^^)

정치체제는 사회주의이고, 경제는 자본주의인 중국의 미래가 여러 나라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모르겠다. 메이드 인 차이나는 저질의 공산품으로 여러사람의 비웃음을 샀던 적이 있었지만, 이제는 고품질을 지향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돈을 버는 만큼 그 돈을 소비하는 중국내 소비규모가 늘어나, made for china 제품 만들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줬다.


중국이 국가를 재건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올때, 세월만 보내고 있었던 것이 아닌가 싶다. 변화가 미미한 나라, 그중에서도 국가의 평균에도 못미치는 조금씩 침체되어가는 시골마을에 살면서 역동적인 그들을 보니, 무언가 뒤로 밀리는 느낌은 확실히 든다. 


그러나 방송에서도 잠시 다뤄졌지만, 아직도 극빈층이 1억명 이상이며, 체제를 비판할 수 없는 사회에서 숨죽여 살아가야하는 중국 인민들의 고뇌도 있을 것이다. 무호적 아이들이 있는 가정의 어려움도 잠시 소개가 되기도 하였다. 시리즈에서는 다뤄지지 않은 종교적인 갈등은 어느 정도인지 모르겠다. 권력이 있는데는 부패가 있어서 최근에만도 중국의 재벌이 사형을 당했다는 소식도 들려온다. 그 재벌과 관계를 맺었던 중국의 고위관리의 사정설도 무르익고 있는듯하다.




슈퍼차이나에서 소설가 위화도 잠시 나왔다. 위화는 중국의 빈부격차와 부패를 가장 염려하였었다. 그는 시진핑 주석에게 희망을 본다고 하였다. 


2008년에 읽었던 위화의 소설 형제에서 한발자국도 나가지 못했던 나의 중국읽기였다.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지 않으면, 어느 방향에서든지 같은 오류를 범할 수 있을 것이다. 편견은 무섭다. 더이상 알고자 하지 않는다. 내가 그렇게 본 것이면, 그것 이외의 것에는 귀와 눈을 열어놓지 않는다. 중국이 떠오르고 있는 조짐은 이곳저곳에서 보여졌으리라. 단지 보고자 하지 않았던 나의 문제일뿐. 나의 의식은 느리게 흐르고 중국은 빠른 속도로 변하고, 그래서 감지하기 어려웠다고 말할수도 있겠다. 그러고보면, 인생후반기는 편견을 알아채고, 교정하고, 고백하는 방향으로 흘러가는 것같다. 새로 알아야 할 것도 많은데 말이다.


글을 맺을 수 없게 만드는 찜찜한 무엇인가가 있다. 그건 "자유"의 문제일지 모르겠다. 북미와 유럽은 "자유"가 넘쳐나고, "개인주의"가 도를 넘어서 군중의 힘이란 것은 미약하다. 그러나 중국은 "체제안에서의 자유"를 누릴뿐이다. 공동의 선을 추구하는데, 모두가 열심히 뛰고 있다. 그 체제가 흔들리기전까지는 이런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어느 순간, 개인들이 체제의 자유를 원하게 될때 엄청난 문제가 발생하게 될수도 있다. 중국이 풀어야 할 숙제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