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은 바이올리니스트들의 모습이 어떻습니까?. 지난 한주간 <음악캠프>가 있었어요. 막내는 바이올린 기초반을 택했습니다. 파랑웃도리와 청바지를 입은 아이가 막내 미리입니다. 아이뿐 아니라, 저도 가까이서 처음으로 바이올린을 접한 기회였구요. 캠프에서 악기를 빌려줘서 집에까지 가지고 올 수 있었습니다. 그애는 매일 저녁 2시간씩 연습해야 한다고, 물론 2시간은 아니고, 한 2분이나, 길면 20분쯤 했을라나요? 아이들의 캠프 선택이 점처 까다로와져갑니다. 흥미가 없는 것은 절대로 하지 않으려고 하지요. 그래서 작년에 했던 <미술>쪽의 캠프도 올해 연결되지 않았고, 그전에 했던 <수영>도 매년 이어지지 않습니다. 그런데, 올해 음악캠프는 우선 큰애의 적극적인 호응으로 이뤄졌습니다. 학교 밴드에서 플룻을 하고 있는 그애에게, 그래서 큰애가 경험이 1-2년 있는 쥬니어 <플룻>반을 택하고 나니, 밑의 두 아이들은 덩달아서 같이 하게 됐습니다. 둘째는 클라리넷을 했습니다. 소리가 아주 낮더군요. 플룻의 소리가 아름다운 고성의 소프라노 소리라면 말입니다. 그러나 그것도 잘 불었을 때의 일이지, 우리 아이들의 수준은 빽빽거리는 소프라노와, 음정이 불안한 알토소리입니다. 그래도, 오며 가며 악기가방과, 악보가 들어간 바인더를 들고 수많은 다른 <작은 음악도>들과 한 물결을 이루며 캠프장으로 쓰는 그런 불협화음속에서도 엄마인 저는 행복하기만 합니다. 지난 토요일 그동안 배운 학생들의 <연주회>가 있었지요. 꼬마들의 첫번째 연주회는 <공짜>도 아니고 거금 5달러씩 지불해야 했습니다. 청중은 대부분 부모와 일가친척들이지만 둘째가 끼어있는 <기초 밴드부>의 연주. 플롯, 클라리넷, 색스폰, ![]() 둘째(하얀옷 입은 아이)는 그날 안경을 집에 놓고 와서, 엄마인 나는 앞자리에 앉아서 그런 찡그리는 막내반의 바이올린 기초반. 7살부터 조금 큰 아이들까지, 그 모습이 얼마나 우리 애들 말에 의하면 모두 한발을 비스듬히 앞으로 빼고, 연주하면서 한바퀴씩 돌기도 하고, 그들의 연주곡은 <반짝 반짝 작은별>등 귀에 익은 서너곡이 되었습니다. 큰애의 쥬니어 밴드. 이 아이들은 어느정도 연주능력이 있습니다. 소리도 표정도 모두 대견한 모습이었지요. 제 친구들 말에 제 타입이 재즈밴드 타입이라고 했다면서 말입니다. 여성적이지 않고, 여기말로 터푸한 것을 달리 말하면 ![]() 연주회가 끝난후 근처 공원에서 찍은 큰애와 막내의 사진입니다. 영광스럽게도, 두명의 이모와 세명의 꼬마사촌들, 큰애는 내년에 다른 악기를 도전한다, 막내는 바이올린은 좋아하지만 레슨을 받을 생각은 없다, 둘째는 클라리넷보다는 바이올린을 하겠다, 세 아이가 끽끽대면서 서로 차례를 기다리며 바이올린 연습을 합니다. 올해 음악캠프를 주관했던 바이올리니스트이면서, 내가 매년 동참하는 <메사야> 합창단의 지휘자인 동시에 어디로 튈지 모르는 아이들이 이렇게 정리가 됐는데, |
나래 루미 미리.